손재호 목사 Profile
창원한결교회 담임목사
연락처 : 010-3585-3604
E-mail : sohnbanaba@hanmail.net
더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more
tag list

댓글 0조회 수 258추천 수 29
?

단축키

이전 문서

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수정 삭제
?

단축키

이전 문서

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수정 삭제
지도자의 최대의 기쁨은 이끄는데 있는 것이 아니라 재생산하는데 있습니다. 진정한 지도자는 많은 추종자를 거느리는 것이 아니라 자신과 같은 지도자를 만들어 냅니다. 이것이 진정한 지도력입니다. 진정한 지도력은 다른 사람들을 꽃피우는 사람이 되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우리는 다른 사람을 꽃피우는 사람이 될 수 있을까요? WTB의 대표인 브루스 윌킨슨 박사는 <배우는 이의 일곱 가지 법칙>이란 책에서 다른 사람을 꽃피우는 다섯 가지 단계를 언급하고 있습니다.


다른 사람들을 꽃피워주기 위해서는 먼저 눈을 떠야 합니다. 그리고 꽃피우기 원하는 사람들을 살펴야 합니다. 그러면 그들을 격려하거나 칭찬할 수 있는 기회가 도처에 널려 있음을 발견하게 될 것입니다.


누군가 어떤 행동을 했을 때 그 장면을 보고 그 행동이 그에게 유익하도록 잘 선용될 수 있다고 생각되면 당신이 그 행동을 직접 목격했다는 사실을 그로 하여금 알게 하십시오. 당신은 그에게 말로 표현함으로써 그의 행동을 드러내어야 합니다. 이 때 "네가 방금~했구나."라고 표현해 보십시오.


그를 탐색하고 그의 바람직한 행동을 말로 표현한 다음에는 그가 방금 행한 것에 대해 어떻게 느끼는지 이야기해 주십시오. 방금 일어난 일에 대한 당신의 감정과 반응을 그에게 표현해야 합니다. "그것을 내게 ~을 느끼게 한다."라고 표현해 보십시오.


3단계까지는 당신이 그 누구도 꽃피우게 하지 않았다는 점을 생각하십시오. 칭찬은 단지 과거에 대해서 흐뭇한 느낌을 주기는 하지만, 완전히 미래지향적으로 만들지는 못합니다. 따라서 "나는 네가 ~이 되리라고 믿는다."라고 말함으로써 당신이 기대하는 바를 알리십시오. 기대는 그로 하여금 새로운 꿈을 갖게 할 것입니다.


이제는 여러분의 기대를 그 사람의 가슴에 접착시켜야 합니다. 때로는 팔꿈치로 툭 치면서 애정을 나눌 수도 있습니다. 부드럽게 손을 잡아줄 수도 있습니다. 어깨에 손을 올려놓고 친근감을 표현할 수도 있습니다. 직접 터치할 수 없는 관계라면, 적절한 말과 미소, 시선을 통해서도 우리는 얼마나 사랑을 전달할 수 있습니다. 바로 이 단계를 통해서 여러분은 꽃피우는 사람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사랑하는 영적 지도자 여러분, 여러분의 인생에서 가장 큰 보상은 여러분과 같은 사람이 만들어지는 것입니다. 예수그리스도께서 12명의 사도들에게 느꼈을 그 기쁨을 여러분도 함께 느껴보지 않겠습니까? 그렇다면, 여러분 주위에 꽃피워주고 싶은 사람이 누구인가를 생각하십시오. 그리고 5가지 단계에 따라 그를 꽃피워주십시오.

일반신학자료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7 교회의 의무로서 '신앙고백' 교육  file 손재호 2017.04.04 232
86 기독교는 교회 구원을 말해야 한다.  file 손재호 2016.07.20 234
85 예배에 임하는 자세의 중요성  file 손재호 2005.08.06 235
84 2016년 성신의 가르치심과 인도하심 특강(전체 강의안)  file 손재호 2016.10.04 235
83 루터의 노예의지론   손재호 2022.12.09 237
82 개혁주의냐 복음 주의냐  file 손재호 2013.08.26 242
81 5대 솔라(오직 하나님께 영광)  file 손재호 2017.12.04 242
80 복음주의와 개혁주의(유상준 목사)  file 손재호 2017.04.15 243
79 집사란 무엇인가?  file 손재호 2005.01.14 246
78 언약과 선택 그리고 언약과 설교, 예배  file 손재호 2016.08.06 246
77 교회개혁을 말하다(이승구 교수와의 대담)  file 손재호 2017.08.18 246
76 집사의 직무  file 손재호 2005.02.02 249
75 하나님의 주권과 섭리를 인정하는 그리스도인의 삶의 원리   손재호 2010.06.19 250
74 야베스 기도의 본의  file 손재호 2016.12.24 252
73 한국 교회 안에 들어온 물질주의와 성공주의  file 손재호 2017.05.04 252
72 이승구 교수의 칼럼(한국 교회에 들어온 물질주의와 성공주의)  file 손재호 2016.12.24 256
71 산당이란 무엇인가?  file 손재호 2018.01.24 256
70 개혁교회, 교육의 주체는 주일학교가 아니고 부모이다.  file 손재호 2017.08.18 257
» 지도자의 기쁨(퍼온글)   손재호 2004.03.10 258
68 헌금과 그리스도인의 헌신 : 십일조 본문 재검토(오광만 교수)   손재호 2022.12.30 261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Next ›
/ 9
Designed by hikaru100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SketchBook5,스케치북5

SketchBook5,스케치북5

SketchBook5,스케치북5

SketchBook5,스케치북5

XE Login